가차전주ㅣ원래의 발음을 최대한 살린 한자/원래의 뜻을 유추한 다른글자

2022. 11. 19. 19:12신화/중국신화,일본신화,동남아신화

한자의 육서 – 전주, 가차

1) 조자법과 용자법

▪ 조자법(造字法)은 한자를 새롭게 만드는 방식 또는 방법을 말한다.

▪용자법(用字法)은 이미 만들어진 한자를 응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 조자법에 해당하는 것은 상형·지사·회의·형성이다.

▪ 용자법에 해당하는 것은 전주·가차이다.

 

2) 전주(轉注)

전주(轉注)란, 본래의 글자 의미에서 유추하여 다른 뜻으로 쓰이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풍류 악(樂)은 ‘즐길 락’, ‘좋아할 요’의 의미도 있다.

풍류 또는 음악 악(樂)은 ‘즐길 락’ 또는 ‘좋아할 요’로 뜻과 소리가

모두 세 가지로 파생되어 쓰인다.

樂(풍류 악)은 樂器(악기)나 音樂(음악)에 쓰이고,

樂(즐거울 락)은 樂園(낙원) 혹은 娛樂(오락)에 쓰이며

樂(좋아할 요)는 樂山(요산) 樂水(요수)에 쓰인다.

▪ 법도 도(度)는 ‘헤아릴 탁’의 의미로도 쓰인다.

度(법도 도)는 정도(程度)나 속도(速度) 에 쓰이고,

度(헤아릴 탁)은‘남의 마음을 헤아리다.’라는 뜻의 촌탁(忖度)에 쓰인다.

▪ 긴 장(長)은 ‘우두머리 장’의 의미로도 쓰인다.

長(긴 장)은 장수(長壽) 장발(長髮)에 쓰이고,

長(우두머리 장)은 총장(總長)이나 회장(會長)에 쓰인다.

▪ 말씀 설(說)은 ‘기쁠 열 또는 달랠 세’의 의미로도 쓰인다.

說(말씀 설)은 어불성설(語不成說)에 쓰이고,

說(달랠 세)는 ‘선거 유세하다.’의 유세(遊說)로 쓰인다.

▪ 악할 악(惡)은 ‘미워할 오’의 의미로도 쓰인다.

惡(악할 악)은 포악(暴惡)이나 사악(邪惡)에 쓰이고,

惡(미워할 오)는 혐오(嫌惡) 또는 증오(憎惡)에 쓰인다.

3) 가차(假借)

가차(假借)란, 기존 글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다른 의미로 쓰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말이 먼저 존재하고 글을 나중에 만드는 상황에서 생기게 된다.

▪ 其는 본래 키(곡식에 섞인 이물질을 고르는 기구)를 가리키는 상형자였지만

후에 가차되어 ‘그것’이란 뜻이 되었다.

이로 인해 竹을 더하여 箕(키 기)라는 글자가 다시 생겨났다.

▪ 來는 본래 곡식인 보리를 가리키는 상형자였지만 후에 가차되어 ‘오다’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 전통적 분류 방법, 한자의 육서(六書)

1) 상형은 형태를 본뜸을 의미한다.

2) 지사는 상징적 부호 사용을 의미한다.

3) 회의는 의미와 의미가 만나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을 말한다.

4) 형성은 한 글자에 소리부분과 의미부분이 조합된 글자를 말한다.

5) 전주는 글자의 본래 의미에서 유추하여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6) 가차는 글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위키백과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