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어성서ㅡ페쉬타ㅣThe Aramaic Bible-Peshta

2023. 2. 21. 21:08아람어 성서ㅡ페쉬타

초기 기독교 성서인 아람어 성서는 AD 200년 후 단 한번도 개정이나 번역이 없이 동방교회 미사집전에 활용된 고대 성서경문입니다.

성서의 본의를 이해 하기 위해 꼭 읽어 보시길 권장합니다.

성서는 유대민족의 역사이기 보다는 아람민족의 역사에 가까우며 유대인의 조상으로 알려진 아브라함은 아람민족의 조상으로 성경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은 아람인이었다

(신명기 26장 5절에는 "나의 조상은 떠돌이 아람인이었다"고 적혀 있다). 

 

그러나 이집트를 떠난 후, 가나안 사람과 헤트 사람과 같은 긴밀한 동맹국 사람들의 영향과 시리아 조상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이스라엘 사람들은 특별한 민족 집단이 되었고, 그들의 아람어는 가나안 사람으로 바뀌었다.

The early Christian Bible, the Aramaic Bible, was an ancient Bible used in the Missa of the Eastern Church after 200 AD without any revision or translation.
I encourage you to read it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 Bible.
The Bible is closer to the history of the Aram people than to th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and Abraham, known as the ancestor of the Jews, is the ancestor of the Aram people, and the Bible records it.

Abraham, Isaac and Jacob were Aramites.
(Deuteronomy 26:5 says, "My forefather was a wandering Aram.")

However, after leaving Egypt, due to the influence of close allies such as Canaanites and Hetites and conflicts with Syrian ancestors, the Israelites became a special ethnic group, and their Aramaic language changed to Canaanites.

https://peshita-k.tistory.com/39

 

아람인ㅣ시리아인 ㅣ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아람인이다ㅣSyria...and Bardaisan

아라메인(아람인)의 역사 아라미안 아라메인은 3000년 전부터 중동의 전통적인 지역인 아라메아에 살고 있다. 아랍인들의 문화적 기여는 역사에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대 시대에 아라메인은

peshita-k.tistory.com

https://peshita-k.tistory.com/

 

아람어성서ㅡ페쉬타

아람어 성서 페쉬타 한국어 번역 블로그입니다.

peshita-k.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