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2)
-
동국통감 23ㅡ평강공주와 온달
신라 진지왕 2년, 고구려 평원왕 19년, 백제 위덕왕 24년, 정유년(丁酉年), 577년, 중국연호 진나라 선제 태건 9년 가을 7월 ○백제에서 사신을 보내어 진(陳)나라에 조빙하였다. 겨울 11월 ○백제에서 사신을 보내어 후주(後周)에 조빙하였다. ○고구려에서 사신을 보내어 후주(後周)에 조빙하니, 후주에서 왕을 책봉하여 개부의동삼사 대장군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開府儀同三司大將軍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으로 삼았다. 신라 진지왕 3년, 고구려 평원왕 20년, 백제 위덕왕 25년, 무술년(戊戌年), 578년 진나라 선제 태건 10년 ○백제에서 사신을 보내어 후주(後周)에 조빙하였다. 신라 진지왕 4년 · 진평왕 원년, 고구려 평원왕 21년, 백제 위덕왕 26년, 기해년(己亥年), 579년, 중..
2023.03.03 -
드바라바티 실라ㅣDvaravati sila
바퀴무늬가 있는 실라 sila 드바라바티실라 드바라바티 실라(Dvaravati Sila)는 고마티 강(곰티 강)에서 채취한 실라 또는 산호석의 일종이다. 드바라카(Dvaraka)는 구자라트 주 잠나가르 구에 위치한 도시로, 고마티 강 하구에 위치한다. 그 도시는 인도의 최서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에서 드바라카는 드바라와티라고 불렸고 나라의 7개 선사 도시 중 하나로 등록되었다. 그리하여 고마티 강의 하구에서 얻은 실라 또는 돌을 드바라바티 실라라 하여 예배에 사용한다. 드바라카 사일러스는 차크라(바퀴) 마크가 있는 산호이며 차크라 마크가 이 돌들의 가장 구별되는 특징이기 때문에 '차크라키타 사일라'라고 불린다.[1][2] 신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미지보다는 상징에 의한 것이다..
202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