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신 ㅣ태양여신

2022. 9. 12. 22:55신화

 

트룬홀름 태양 마차 ( Trundholm sun chariot ),  북유럽 청동기 시대 (1700?~500 BC)

태양신(太陽神, 영어: solar deity, sun god) 또는 태양여신(太陽女神, 영어: sun goddess)은 태양 종교 숭배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어 형성된 이다. 태양숭배(太陽崇拜, 영어: sun worship)는 태양 신격화하여 신앙하고 숭배하는 것을 말한다.[1]

태양신은 흔히 태양 그 자체나 한 측면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대개의 경우 태양신은 인간이 경외감을 느낀 태양의 힘을 나타낸다. 태양신과 태양숭배는 세계 역사의 도처에서 발견되는데,[1] 그 형태는 다양하다. 그 결과 태양숭배를 중심으로 형성된 많은 믿음들이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개기일식처럼 태양이 사라진 경우에 대한 신화 또는 전설이 많은 문화들에서 발견된다.

각 문화의 태양신과 태양숭배[편집]

동아시아[편집]

한국[편집]

환인 단군신화에서 환웅(桓雄)의 아버지이며 단군(檀君)의 할아버지인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하늘의 신으로, 환웅이 인간세상으로 내려가 세상을 다스릴 것을 허락하고 천부인 3개를 주었다고 한다.[2] 환인은 (天: 하늘) 또는 태양을 숭배하던 사상에서 출발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정착된 불교적인 표현으로 여겨진다.[2]
  •  일월성신과 천지신명(日月星辰과 天地神明)
일월성신과 천지신명은 한국의 민간신앙인 (巫)의 신앙대상 중 하나로,[3] 일(日)은 태양신을 가리키며 달의 신인 월(月)과 짝을 이룬다. 궂은 것을 기피하고 양달진 것을 찾는 마음이 지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월성신에 투사되어 그것들이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3]
  •  연오랑과 세오녀
연오랑과 세오녀 고려시대 학자이자 문신인 박인량(朴寅亮: ?~1096)이 지은 《수이전》에 나오는 설화로 《수이전》은 전하지 않으나 이 설화는 《삼국유사》와 《필원잡기》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이 설화는 한국의 유일한 태양신 설화이다.[4]  설화에 따르면, 동해 바닷가에 살던 주인공 부부가 바위를 타고 일본의 한 섬에 도착한 후 그곳에서 임금과 왕비가 되었는데 그 순간 신라에서는  이 빛을 잃는 변괴가 일어났다.[4] 한편, 부부가 타고 간 바위가 귀신고래였다는 설이 있다.[4]
  •  천부경(天符經)
천부경》은 대종교의 경전으로 총 81자의 한자로 이루어진 짧은 경전이다. 최초의 판본은 계연수가 1916년에 발견하여 1917년에 단군교에 보낸 묘향산 석벽본이다. 이후 《천부경》은 오랫동안 대종교에서 경전으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1975년에야 교무회의에서 경전으로 채택되었다. 최초의 발견자인 계연수는 《천부경》은 최치원이 석벽에 새겨놓은 것이라 주장하였다. 《천부경》의 위작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나, 사학계에서는 신채호가 《조선사연구초》와 《조선상고사》에서 위작으로 확언한 후 위작으로 보는 것에 별다른 의문이 없다.위작 여부와는 별개로, 《천부경》의 내용 중에는 "本心本太陽昻明(본심본태양앙명: (인간의) 본래 마음은 원래 태양처럼 밝고 밝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은 태양숭배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인간의 본성을 태양에 비견했다는 점에서 태양숭배의 철학적 · 신비적 교의와 맥락이 닿아 있다. 공자 (仁)의 철학에서 바탕한 맹자 성선설과 이를 계승한 후대의 성리학 양명학의 본성론, 모든 사람은 부처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대승불교 불성론 여래장사상, 우주에는 가 있고 또한 우주 에 의해 운행되고 있으므로 억지를 부릴 필요가 없이 에 순응하기만 하면 된다는 도교 무위자연 사상, 인간의 진정한 자아는 우주의 궁극적 실재인 브라만과 동일한 존재라는 힌두교 우파니샤드 베단타 철학 범아일여 사상, 인간은 본래 빛의 세계 플레로마에 거주하고 있었으나 실락하여 물질계에 살게 되었다는 영지주의의 인간론 등의 표현법들과는 달리, 《천부경》에서 태양을 들어 인간의 본성이 본래 아주 밝은 것이라고 말한 것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중국[편집]

일본[편집]

동남아시아[편집]

인도네시아 신화[편집]

남아시아[편집]

불교[편집]

힌두교[편집]

서남아시아[편집]

메소포타미아[편집]

폴리네시아[편집]

아프리카[편집]

아프리카 신화[편집]

이집트 신화[편집]

태양신

  • 케프리: 아침의 태양신
  • : 낮과 정오의 태양신
  • 아툼: 저녁의 태양신

혼합주의 또는 변천에 의한 태양신

태양신의 대적자

  • 아펩: 뱀의 모습을 한 악의 신으로 태양신 와 싸운다.

기타 관련된 신

유럽[편집]

그리스 신화[편집]

신지학[편집]

영지주의[편집]

켈트 신화[편집]

슬라브 신화[편집]

아메리카[편집]

아즈텍 신화[편집]

잉카 신화[편집]

태양여신[편집]

관련 상징[편집]

관련 건축물[편집]

관련 도시[편집]

현대의 해석[편집]

같이 보기[편집]

그리스 관련[편집]

기독교 관련[편집]

로마 관련[편집]

메소포타미아 관련[편집]

이집트 관련[편집]

일본 관련[편집]

잉카 관련[편집]

조로아스터교 관련[편집]

켈트 관련[편집]

폴리네시아 관련[편집]

힌두교 관련[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태양숭배(太陽崇拜)", 《네이버 국어사전》. 2011년 7월 8일에 확인.
  2.  이동:  "환인(桓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1년 7월 8일에 확인.
  3.  이동: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민 간 신 앙 > 숭 배 > 일월성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  이동:   정성희 (2008년 1월 10일). “[횡설수설/정성희]귀신고래”. 동아일보. 2008년 7월 21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5.  Geraldine Harris and Delia Pemberto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Peter Bedrick Books, 1999. pp.142-143
  6.  “하나님의 교회 공식 홈페이지 (기본진리 - 안식일)”.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2009년 6월 18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태양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