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제(2)
-
월지 토벌과 사망ㅣ월지왕의 해골은 흉노의 술잔이 되다ㅣ월지와 신라는 모계혈통으로 왕이 되다.
월지 토벌과 사망 묵돌 시절 월지는 흉노의 서방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당시 서역 나라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당시 우현왕이 한나라와 소규모 전쟁을 벌인 이듬해인 기원전 176년(한나라의 효문제 시대), 묵돌과 효문제가 편지를 교환하였다. 묵돌이 보낸 다음의 편지에는 월지 토벌의 내용이 나타난다. “ 지금 작은 관리들이 약속을 깨트렸기 때문에[4] 그 죄를 물어 이번에 우현왕에게 그 벌로써 서쪽으로 월지를 토벌하게 하였소. 다행히 하늘의 가호로 단련된 정예 병사와 강건한 말로써 월지를 쳐부수어 이를 모조리 죽이거나 항복시키고 누란, 오손, 호게 및 그 인접 26개 국을 평정하여 이들을 모두 흉노에 병합하였소. 이리하여 각 유목민족은 합하여 한 집안이 되었고, 북쪽 지방은 이미 안정을 찾았소. ” —..
2023.02.01 -
투후 김일제는 월지족이었다.ㅣ한국인의 조상은 월지족?
투후 김일제는 월지족이었다. 자작나무 ・ 2020. 10. 14. 20:18 URL 복사 ◇흉노에 복속된 월지, 휴도왕 신라 김씨왕조 흉노설은 문무왕 비문을 근거로 하고 있다. 능비의 명문에 “秺侯 祭天之胤 傳七葉”에서 언급된 “투후”가 바로 ⟪漢書⟫“列傳”에서 다루는 ⌜김일제 (金日磾)⌟이기 때문이다. 김일제는 漢武帝때 표기장군 곽거병의 흉노토벌전쟁에서 포로가 된 흉노 休屠王의 왕자로 기술되어 있어 당연히 그를 흉노족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김씨왕조 흉노설은 능비의 비문과 중국측 사료의 기록등이 역사적 사실로 인정 할 만한 논거를 갖추고는 있으나 아직 정설로 받아 들여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필자는 과연 문무왕이 김일제의 후손인가?에 대한 진위여부는 앞으로 학계에서 밝혀야 할 일이지만..
202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