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árㅣ바르ㅣ프레야ㅣ 바르=바르나?ㅣ발ㅣ발조선

2022. 8. 12. 23:52고조선

 

 

 

바르

헝가리어로 Vár(바/발)라고 불리는 루마니아 Var 마을에 대해서는 Obreja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북유럽 신화에서 Vár (바/발)또는 Vór(고대 노르웨이어, "약속"[1] 또는 "사랑하는"[2]를 의미함)은 맹세 및 계약과 관련된 여신입니다. Vár는 이전의 전통적인 출처에서 13세기에 편집된 Poetic Edda에서 증명됩니다. 13세기에 Snorri Sturluson이 쓴 Prose Edda; 그리고 skaldic시와 룬 문자 비문에서 발견되는 kennings. 학자들은 여신의 의미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내용물 1 증명 2 이론 3 노트 4 참조 증명 Poetic Edda 시 Þrymskviða에서 Vár의 축복은 그의 "신부"(실제로는 프레이야 여신으로 변장한 Thor 신)가 결혼식에서 토르의 훔친 망치 Mjöllnir로 신성하게 된 후 jötunn Þrymr에 의해 호출됩니다. 벤자민 소프 번역: 그러자 Thrym이 말했습니다. 투르사르의 영주: 망치를 넣고, 봉헌할 신부; 레이 Miöllnir 처녀의 무릎에; 우리를 서로 하나로 묶다 Vör의 손에 의해.[3] 헨리 아담스 벨로우즈 번역: 그러자 큰 소리로 Thrym이 말했습니다.

 

거인의 리더: "망치를 가져와 신부를 거룩하게 하기 위해; 처녀의 무릎에 묠니르가 거짓말을 하게 하고, 우리 두 손 Vor의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4] Prose Edda 책 Gylfaginning의 35장에서 High는 Gangleri(변장한 Gylfi 왕으로 묘사됨)에게 ásynjur에 대해 알려줍니다. High(아이)는 Vár가 이 장에서 제시하는 16명의 신 중 9위를 나열하고 그녀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홉 번째 Var: 그녀는 여자와 남자가 서로 맺는 사람들의 맹세와 사적인 계약에 귀를 기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계약을 varar라고 합니다. 그녀는 또한 그것을 부수는 사람들을 처벌합니다.

[5] 또한 Vár는 Prose Edda에서 두 번 더 나타납니다. Prose Edda 책의 75장에서 Skáldskaparmál Vár는 27명의 ásynjur 이름 목록에 나타납니다.

[6] 87장에서 Vár라는 이름은 Hvinir의 skald Þjóðólfr의 시 Haustlöng에서 여신 Skaði("bow-string-Vár")를 언급하는 계집에 사용되었습니다.

 

[7] 1300년경 노르웨이 베르겐의 막대기에 새겨진 룬 문자 비문에는 일반적인 상업 거래가 기록되어 있으며 불만을 품은 서기관이 Vár를 언급한 구절이 있습니다(번역자의 메모에 따라 수정됨). ' 실 세공의 현명한 여자", "보석으로 장식된 현명한 여자"를 의미함]는 (나를) 불행하게 만듭니다.

고등어의 땅[아마도 금/알]의 Eir [여자]는 나에게서 자주 그리고 많은 잠을 앗아간다.'

 

[8] Mindy Macleod와 Bernard Mees는 비문의 첫 번째 줄은 본질적으로 "여성들은 나를 비참하게 만든다" 또는 잠재적으로 "결혼은 나를 비참하게 만든다"를 의미하는 반면, 두 번째 줄은 "여성들은 종종 나에게서 많은 잠을 자게 한다"를 의미한다고 가정합니다.

 

[8] 이론 Þrymskviða에서 Vár에 대한 의식 혼인 언급과 관련하여 Andy Orchard는 "이러한 의식의 고대는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1] Britt-Mari Näsström은 다른 많은 작은 여신들과 마찬가지로 Vár가 원래 Freyja의 이름 중 하나였다고 주장합니다. , "나중에 독립적인 여신으로 파악됨."

[9] Rudolf Simek은 Sága, Hlín, Sjöfn, Snotra, Vár 및 Vör 여신은 모두 "사적 영역의 특정 영역을 담당하지만 명확한 여성 보호 여신으로 보여야 하는" 모호하게 정의된 인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들 사이에 차이가 생겨 여러 면에서 대모와 비슷했습니다.

Vár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For the Romanian village of Var, called Vár in Hungarian, see Obreja.

In Norse mythology, Vár or Vór (Old Norse, meaning either "pledge"[1] or "beloved"[2]) is a goddess associated with oaths and agreements. Vár is attested in the Poetic Edda, compiled in the 13th century from earlier traditional sources; the Prose Edda, written in the 13th century by Snorri Sturluson; and kennings found in skaldic poetry and a runic inscription. Scholars have proposed theorie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goddess.

Contents

1 Attestations

2 Theories

3 Notes

4 References

Attestations

In the Poetic Edda poem Þrymskviða, the blessing of Vár is invoked by the jötunn Þrymr after his "bride" (who is actually the god Thor disguised as the goddess Freyja) is hallowed with the stolen hammer of Thor, Mjöllnir, at their wedding:

Benjamin Thorpe translation:

Then said Thrym,

the Thursars's lord:

Bring the hammer in,

the bride to consecrate;

lay Miöllnir

on the maiden's knee;

unite us each with other

by the hand of Vör.[3]

Henry Adams Bellows translation:

Then loud spake Thrym,

the giants' leader:

"Bring in the hammer

to hallow the bride;

On the maiden's knees

let Mjollnir lie,

That us both the hand

of Vor may bless."[4]

In the chapter 35 of the Prose Edda book Gylfaginning, High tells Gangleri (described as king Gylfi in disguise) about the ásynjur. High lists Vár ninth among the sixteen ásynjur he presents in the chapter and provides some information about her:

Ninth Var: she listens to people's oaths and private agreements that women and men make between each other. Thus these contracts are called varar. She also punishes those who break them.[5]

In addition, Vár appears twice more in the Prose Edda. In chapter 75 of the Prose Edda book Skáldskaparmál Vár appears within a list of 27 ásynjur names.[6] In chapter 87 the name Vár is employed in a kenning referring to the goddess Skaði ("bow-string-Vár") in the poem Haustlöng by the skald Þjóðólfr of Hvinir.[7] A runic inscription inscribed on a stick from Bergen, Norway around the year 1300 records a common mercantile transaction followed by a verse from a displeased scribe that mentions Vár (edits applied per the translator's notes):

'Wise Var of wire ["woman of filigree," meaning "wise bejeweled woman"] makes (me) sit unhappy.

Eir [woman] of mackerels' ground [likely gold] takes often and much sleep from me.'[8]

Mindy Macleod and Bernard Mees posit that the first line of the inscription essentially means "women make me miserable" or potentially "marriage makes me miserable," whereas the second line means "women often take a lot of sleep from me."[8]

Theories

Regarding the ceremonial marital reference to Vár in Þrymskviða, Andy Orchard opines that "the antiquity of such a ritual is far from clear."[1] Britt-Mari Näsström argues that, like many other minor goddesses, Vár was originally one of Freyja's names, "later apprehended as independent goddesses."[9]

Rudolf Simek says that the goddesses Sága, Hlín, Sjöfn, Snotra, Vár, and Vör should be considered vaguely defined figures who "should be seen as female protective goddesses" that are all responsible for "specific areas of the private sphere, and yet clear differences were made between them so that they are in many ways similar to matrons."[10]

Notes

Orchard (1997:173).

Byock (2005:178) and Simek (2007:353).

Thorpe (1866:66).

Bellows (1923).

Faulkes (1995:30).

Faulkes (1995:157).

Faulkes (1995:87).

MacLeod. Mees (2006:59).

Näsström (2003:83).

Simek (2007:274).

References

Bellows, Henry Adams (Trans.) (1923). The poetic Edda. New York: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Byock, Jesse (Trans.) (2005). The Prose Edda. Penguin Classics. ISBN 0-14-044755-5

Faulkes, Anthony (Trans.) (1995). Snorri Sturluson: Edda. First published in 1987. London: Everyman. ISBN 0-460-87616-3

Lindow, John (2001).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382-0

Macleod, Mindy. Mees, Bernard (2006). Runic Amulets and Magic Objects. Boydell Press. ISBN 1-84383-205-4

Näsström, Britt-Mari (2003). Freyja - the great Goddess of the North. Harwich Port: Clock & Rose, 2003. First published: University of Lund, 1995. ISBN 1-59386-019-6.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Cassell. ISBN 0-304-34520-2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ISBN 0-85991-513-1

Thorpe, Benjamin (Trans.) (1866). Edda Sæmundar Hinns Frôða: The Edda of Sæmund the Learned. Part I. London: Trübner & Co.

발조선(發朝鮮)은 하나의 나라이다.

bobjyeon 2016. 1. 31. 16:15

하나의 나라인 發朝鮮을 發, 朝鮮으로 보는 것은 지나인들이 찍어 놓은 방점에만 의지하여 사서를 해석하려는 어리석은 사람들이나 하는 짓입니다. 이렇게 두개의 나라로 보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지나인들이 근대에 만들어 놓은 사서의 표점교본에서 發朝鮮을 發, 朝鮮으로 나누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발조선이 나온 사서의 기록을 하나씩 봅시다.

1. 관자 권 23

- 發朝鮮之文皮一筴也

(발조선의 문피도 그중에 하나 낀다. 즉 발조선의 문피도 좋다라는 말입니다)

- 八千里之發朝鮮

(발조선까지 8백리)

- 發朝鮮不朝

(발조선이 조공하지 않다)

관자에서 발조선을 발과 조선의 문피다라고 해석하면 아주 우습습니다. 안그렇습니까? 저렇게 동시에 조공도 안構?8백리로 위치도 같고 문피도 똑같이 나는 곳이 두 나라다라는 것은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입니다.

2. 사기 권1

- 南撫交阯北發西戎析枝渠廋氐羌北山戎發息慎 (남으로 교지交阯, 북발北發, 서쪽으로 융戎, 석지析枝, 거수渠廋, 저강氐羌 북쪽으로 상융山戎, 발식신發息慎을 위무하였다. )

사기에서는 발식신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발조선의 전음(轉音)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항상 사서에서는 지나의 북쪽에 있는 나라를 설명할때 發이라는 글자는 朝鮮(혹은 息慎, 혹은 肅愼)이라는 글자가 따라다닙니다. 즉, 북쪽에 발국(發國)이 홀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설사, 발국(發國)이라는 나라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남쪽에 분명히 북발(北發)이라는 나라가 존재하는데 북발(北發)의 북쪽에 발국(發國)이 있는 꼴이 되므로, 이것은 남북의 개념을 모르는 자들이나 그렇게 볼 것입니다.

3. 대대례 권7

南撫........北山戎發息慎(案史記索隱云山戎下少一北字北發是北方國名)

북으로 산융 발식신을 위무하였다(생각컨대, 사기색은에 말하기를 산융山戎 밑에 작은 글자 북北자가 보이므로, 북발北發은 북방의 국명이다)

아 주 우습죠. 뭔가를 모르고 하는 말입니다. 저기 사기 권 1에 보면 南撫交阯北發 남쪽으로 교지(交阯)와 북발(北發)을 위무하였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즉, 북발(北發)은 남쪽에 있는 나라인데 여기 북쪽에 있는 나라라고 사기색은에서 말하고 있는데 사기색은의 주석은 틀린것입니다. 사기색은은 그저 북발(北發)이라는 나라가 있으니 발식신(發息慎)의 발(發)도 북발(北發)일 것이다라는 틀린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분명히 북발(北發)은 남쪽에 있는 나라이고,

 

북쪽으로 산융(山戎)과 발식신(發息慎)이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발국(發國)이 존재

 

한다면 지나의 남쪽 나라인 북발(北發)보다 더 남쪽에 있어야 논리적이 되는 것입니다.

제가 앞서 "기자는 풍백의 자손이라는 글"에서 發, 番의 지나인의 발음이 fan 혹은 fa이고 이는 우리나라 영토 서쪽에 있었던 풍백이 다스리던 藍國의 뜻인 "파란"을 지나인들이 음차한 것이라는 것을 그 지역과 다스리던 통치자, 그리고 람국의 뜻과 지나인의 발음을 근거로 발조선은 바로 람국이고 번한도 람국이다라는 것을 논증하였는데,지나인이 그저 점교본에 發, 朝鮮이라 하였다하여 그것이 두개의 나라라고 하는 것은 역사를 공부할줄 모르는 자나 하는 것입니다.

발조선(發朝鮮)은 하나의 나라이다. (tistory.com)

저널리스트 - [역사 스페셜] 1... : 카카오스토리 (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