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143)
-
Bhaktivedanta VedaBase: Śrīmad Bhāgavatamㅣ박티베단타 베다 기지: 이르마드 바가바탐 10.1.1~10.1.69
Bhaktivedanta VedaBase: Śrīmad Bhāgavatam SB 10.1 Summary SB 10.1.1: King Parīkṣit said: My dear lord, you have elaborately described the dynasties of both the moon-god and the sun-god, with the exalted and wonderful character of their kings. SB 10.1.2: O best of munis, you have also described the descendants of Yadu, who were very pious and strictly adherent to religious principles. Now, if yo..
2023.01.12 -
박티베단타 베다 기지: 이르마드 바가바탐 ㅣ 잠반바티
https://web.archive.org/web/20110928211736/http://srimadbhagavatam.com/sb/10/56/en Bhaktivedanta VedaBase: Śrīmad Bhāgavatam SB 10.56 Summary SB 10.56.1: Śukadeva Gosvāmī said: Having offended Lord Kṛṣṇa, Satrājit tried as best he could to atone by presenting Him with his daughter and the Syamantaka jewel. SB 10.56.2: Mahārāja Parīkṣit inquired: O brāhmaṇa, what did King Satrājit do to offe..
2023.01.11 -
중국의 고대왕조: 하나라
중국역사 중국의 고대왕조: 하나라 chinatoktok 2020. 11. 16. 22:46 개요 중국의 문헌에 중국 최초의 왕조 국가로 기록된 나라. 황하문명의 한 갈래이다. 전통적으로 중국 한족을 화하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바로 이곳의 국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다만 문헌적, 고고학적 근거가 미약해 실존한 나라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얼리터우 문화로 대표되는, 문헌 속 하나라 연대에 해당하는 청동기 문화를 하 문화로 부르기도 하나, 이를 지지하는 학자들 중에서도 하 문화의 존재는 인정해도 이것이 국가로까지 발전했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기록에 따르면 국성은 '사', 씨는 '하후'이다. 건국자는 '우', 상서 등 문헌에 의하면, 요순시대 엄청난 홍수가 일어났는데, 우의 아버지 '곤..
2022.11.19 -
가차전주ㅣ원래의 발음을 최대한 살린 한자/원래의 뜻을 유추한 다른글자
한자의 육서 – 전주, 가차 1) 조자법과 용자법 ▪ 조자법(造字法)은 한자를 새롭게 만드는 방식 또는 방법을 말한다. ▪용자법(用字法)은 이미 만들어진 한자를 응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 조자법에 해당하는 것은 상형·지사·회의·형성이다. ▪ 용자법에 해당하는 것은 전주·가차이다. 2) 전주(轉注) 전주(轉注)란, 본래의 글자 의미에서 유추하여 다른 뜻으로 쓰이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풍류 악(樂)은 ‘즐길 락’, ‘좋아할 요’의 의미도 있다. 풍류 또는 음악 악(樂)은 ‘즐길 락’ 또는 ‘좋아할 요’로 뜻과 소리가 모두 세 가지로 파생되어 쓰인다. 樂(풍류 악)은 樂器(악기)나 音樂(음악)에 쓰이고, 樂(즐거울 락)은 樂園(낙원) 혹은 娛樂(오락)에 쓰이며 樂(좋아할 ..
2022.11.19 -
The Tale of King Mu, Son of Heavenㅣ목자지천
목천자전(穆天子傳)-2. The Tale of King Mu, Son of Heaven LEE MOSOL BLOG 0 1 목천자전(穆天子傳)-2. The Tale of King Mu, Son of Heaven 앞서 “신시 (神市) 환국 (桓國)시대 의 첫 장 서론”에서는 사기 대완열전을 근거로 첫 아사달이 어디였나를 찾아 보았다. 사마천은 서쪽에 다녀온 장건(張騫)의 말을 인용하여 “곤륜, 서왕무”하는 이름이 허황된 낭설이라 일축했다. 뒤에 한서 서역전에는 천산 남북로를 자세히 설명했다. 북로에 있어야 하는 오손국 (烏孫國)의 지명을 모호하게 기술 했다. 사실을 숨기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본다. 두를 돌아 보니,아직도 의문에 싸여 있는 목천자전에는 “적오씨(赤烏氏) 서왕무, 곤륜” 하는 이름이 나와 있다...
2022.11.19 -
잠바바티의 관련 자료
레퍼런스 ^ Books, Kausiki (9 July 2021). Brahma Vaivartha Purana: 7 Sri Krishna Janana Khanda Part 4: English Translation only without Slokas: English Translation only without Slokas. Kausiki Books. ^ a b c d "Chapter 56: The Syamantaka Jewel". Bhaktivedanta VedaBase: Śrīmad Bhāgavat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11. Retrieved 27 February 2013. ^ a b Horace Hayman Wilson (1870). Th..
2022.11.09